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 대처
가스라이팅 연애
오늘은 정신학적 병리현상 중 하나인 가스라이팅의 뜻이 무엇이고,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그리고 이것에 관한 대처법과 연애에 관한 가스라이팅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가스라이팅이란?
![](https://blog.kakaocdn.net/dn/3C7oW/btqEnHV0TOm/enJrxv2lFutyoC8o4mBbTK/img.jpg)
일단 가스라이팅은 심리학적 용어로 누군가를 정신적으로 해하고 학대한다는 뜻의 용어입니다.
가해자가 피해자의 마음과 정신을 착란시켜 가해자가 원하는대로 피해자를 움직이게 합니다. 가해자가 원하는 대로 피해자 본인을 생각하게 만들죠. 보통 가해자는 피해자 자신의 자아를 잃게만들고 그 안에 가해자의 생각을 주입합니다.
자신의 자아를 잃어가고 자신의 마음이 황폐화되어갈수록 더욱더 가해자의 정신, 신체적 지배력은 올라가죠. 쉽게 말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가해자의 지배 또는 조종당한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완전히 처음보는 사람보단 알고지내던 사람, 혹은 서로 호감이 있었던 관계, 친밀한 관계 등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상대방을 계속 공감해주며 서서히 친밀도를 높여가면서 동시에 자신의 지배력을 주입하는거죠. 아주 지능적인 일종의 정신적 범죄입니다.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완전 놀아날 경우, 누군가 피해자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면 더욱더 심각한 상황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큽니다. 가해자의 경우 주변 사람들이 피해자를 도와주지 못하게 피해자가 주변사람들을 걷어내도록 지시할 것입니다.
혹시 주변에 아무 이유없이 행동이 이상하거나 주변사람들을 배척하려 한다면, 누군가에게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건 아닌지 의심해봐야 겠습니다.
가스라이팅 유래
![](https://blog.kakaocdn.net/dn/cX2j6h/btqEnHonbHD/F7DTns0JD0mBq0DWmJ2Th1/img.jpg)
가스라이팅이란 용어 자체는 가스등이라는 1944년도작 영화작품에서 나왔습니다. 영화내용이 가히 소름끼치는데요. 사랑이 아닌 재산을 위해 아내와 의도적으로 결혼한 한 남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가스등을 희미하게 한후 아내의 시야가 흐리멍텅해진 틈을 이용해 교묘한 조작과 속임수를 쓰는데요. 시야가 뿌여진 틈을 타 "당신은 지금 헛것이 보이고 있다." "제정신이 아니다." "주변은 멀쩡한데 당신이 이상한 것만 보려한다."
하면서 아무문제없는 아내를 점점 미치광이로 만듭니다. 결국 스스로를 믿지 못하는 아내는 점점 남편만을 의지하게 되고, 결국 남편이 조종하는 대로 정신과 육체를 지배당하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SyeLz/btqEnhDvDn4/ikgvbHxTO9lIdBxLWdnBK1/img.jpg)
여기서 탄생한 용어가 바로 가스등 효과 - Gas Light Effect이며 바로 이런 가스라이트를 하는것을 Gas Lighting이라 칭하게 되었고,
가스라이트를 행하는 자를 Gas Lighter라는 용어들이 탄생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스라이팅 유형
가스라이팅은 다양한 유형으로 발생합니다. 보통 외면, 불신, 의심, 경시, 무시 등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가하는 현상을 유형화 해놓은 것이며, 보통은 딱 한가지만 발생하지 않고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4dTx/btqEo8sfHaI/oPEE9M3BWAaytaFVF46IMk/img.jpg)
1. 외면: 피해자들이 하는 말이나 어떤 의견을 아예 듣지 않거나 말을 끊어버리는 경우입니다. 피해자는 점점 자신감을 상실하게 됩니다.
2. 불신: 피해자가 하는 생각이나 행동, 기억 모두를 불신합니다. 이것이 심해질경우 피해자 자신도 자기 자신을 못 믿는 지경에 다다릅니다.
3. 의심: 당연히 맞는 논리와 이치도 피해자가 말한다면 아닌것처럼 말합니다. "그게 확실해? 100% 장담할 수 있어?" "니가 말한것과 반대되는 사례를 찾아오면 어떡할래?" 등입니다.
4. 경시: 피해자의 감정이나 의견을 아주 낮게 보고 그냥 넘겨버리는 경우입니다. "그런 감정은 누구나 느끼는거야" "너만 특별한게 아니야" "니가 그러니깐 무시당하는건 당연한거야" 등입니다.
5. 무시: 피해자에게 실제 발생한 모든 사건과 일들을 모르는척 하는 겁니다. 특히 가해자와 연결된 일일 경우 가해자는 완전히 모른척하거나 쉬시하며 넘깁니다.
혹시 주변에 이에 해당하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이 있다면, 자기도 모르게 그 사람에게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을지도 모르니 한번쯤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가스라이팅 연애
![](https://blog.kakaocdn.net/dn/b8YBoU/btqEmL6cYRo/MvWHgLqNKZWb4HtmVzbnV1/img.jpg)
가스라이팅은 특히 연애과정에서 많이나타나는데요. 다 그런건 아니지만 아래와 같은 순서로 보통 가스라이팅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1. 친밀 관계 형성
일반적인 연애과정과 같이 초반에 아무것도 모른채 별 생각없이 이성적인 호감으로 상대방에게 매력을 느끼는 시기입니다.
2. 자존감 하락
별거 아닌 것에도 상대방의 단점을 크게 부각시키거나 상대방을 잘못을 매우 크게 지적하는 경우가 지속되는 경우입니다. 상대방이 나의 단점, 잘못을 아주 크게 꾸짖거나 나무라고 이것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나의 자존감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는것 같다면 조금은 의심해 봐야 합니다.
그러나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피해자도 반박도 하고 가해자와 서로 싸우기도 하면서, 헤어지기도 많이 합니다.
3. 인형화
2단계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지속되었다면 피해자는 이제 인형처럼 가해자에게 조금씩 의지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가해자도 점점 자신의 지배력을 높여가죠. 가해자는 주변사람들이 피해자를 돕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피해자 스스로 주변인들과 관계를 끊으라고 조종합니다.
"거봐, 그 사람은 널 아예 모른다니깐? " 그사람은 널 지금 무시하는 거라니깐?"이런식으로 주변관계를 끊으면서 동시에 "나만이 널 이해해 주고 사랑해줄 수 있어" 이런식의 말들을 하면서 피해자가 자신에게 더욱더 의지하도록 만듭니다.
4. 무시, 경시
이제 가해자는 피해자를 완전히 조종하고 시작합니다. 피해자의 자존감 자신감은 이미 저 밑으로 떨어진지 오래입니다. 이제는 가해자는 피해자 자체를 하찮게 여기고 경시하는 단계입니다. 피해자 자신도 자신의 자존감 자신감은 생각치도 못하며, 오로지 가해자의 말에 의해 감정과 행동이 다스려 집니다.
가스라이팅 대처법
![](https://blog.kakaocdn.net/dn/oUsMF/btqEpZOQRPb/06tzueYKemd0JszmDRuCU0/img.jpg)
1. 지금 이 생각과 행동이 오롯이 나로부터 비롯된 것인지 상대방으로부터 나온것인지 이성적으로 구분하기
보통 착하다고 주변에서 불리는 사람들이 가스라이팅에 당할 확률이 오히려 높습니다. 착하다는 것은 그만큼 상대방을 잘 배려해준다는 것인데요. 또한 단순히 착한 것을 넘어 나보단 남이 더 먼저인 사람이라면 더욱더 가스라이팅 당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물론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원만한 사회생활을 해나가는것이 중요하지만, 그전에 가장 중요한것은 내 자신과 내 안위입니다. 누군가가 나를 불편하게 하고 누군가의 관계가 나에게 스트레스로 다가오기 시작한다면 한발짝 떨어져서 이게 무슨 관계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하는 행동과 생각들이 오롯이 나에게서 나온건지, 아니면 상대방을 배려하려고 그랬거나,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 내가 지금 생각과 행동을 하는것은 아닌지 냉철하게 분석하고 따져봐야 합니다.
내 생각과 행동은 나 자신에게서 비롯되야 합니다. 상대방을 배려하기 전 일단 내 생각부터 확고히 하자는건 절대 나쁜것이 아닙니다.
2. 관계라는 틀속에서 벗어나기
우리는 수많은 관계를 맺고 살아갑니다. 직장, 친구, 연인, 지인 등등 그러나 사람이라면 모든 관계를 일일이 다 신경쓰면서 살아갈 수 없습니다. 또한 모든 관계가 다 좋고 재밌는것은 아닙니다.
관계를 맺고 살아가야하는건 어쩔 수 없지만,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갈지는 내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내 자신이 상대방을 배려하고 용납해주는것도 한계가 있다는것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내가 모든 사람을 다 포용하고 살아가는 착한 사람이 되려고 하지 않아도 됩니다.
내 자신의 자아와 자존감이 무조건적으로 최우선입니다. 나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거나 나의 결정을 지배하려 하거나 하는 사람과는 단호히 관계를 정리해도 좋습니다. 상대방이 나한테 책임의식을 강요하거나 불필요한 죄의식을 느끼게 한다면 더더욱 그 관계는 오히려 정리해도 좋은 것입니다.
3.내가 나를 사랑하기
![](https://blog.kakaocdn.net/dn/bls2zg/btqEn9kO9Qo/YXumZXIdpQZSNOg1yEwJJK/img.jpg)
사실 가장 중요한건 내가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사실 내가 온전히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남에게 잘 휘둘리지도 않으면서 상대방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도 잘 유지합니다.
내 생각을 확고히 하는것과 상대방을 배려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는것은 다른 일입니다. 나의 생각을 믿고 내가 나 스스로를 사랑해야 합니다. 그러러면 시간을 내서 혼자만의 시간을 갖도록 해보세요. 명상을 하거나 일기를 써보거나, 내가 내 자신을 제3자로 지켜볼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4.마음의 경계 유지하기
가스라이팅은 내 생각과 행동이 다른사람에게 지배당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것을 애초에 예방하려면 나의 생각을 지배하려 하고 나의 자존감을 무너뜨리는 사람들에게는 마음의 경계를 항상 품고 있어야 합니다. 그 사람이 의도적으로 가스라이팅을 하려고 하던 하지 않던, 나의 생각을 불안하게 하는 사람에게는 늘 마음의 경계를 품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흔들리지 않고 나를 내 스스로 지켜낼 수 있습니다. 가스라이터들은 심리적으로 서서히 그리고 교묘하게 나를 지배하려 듭니다. 이런 낌새가 보이는 사람들에게는 더욱더 나의 확고한 생각을 말하고 행동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고 이들과의 대화가 도저히 풀리지 않는다면 대화 자체를 하지 않고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무리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단어 가스라이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스라이팅으로 힘들어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